새로운 균형발전 정책으로 수도권 집중문제 해소

5월 10일 출범한 윤석열정부는 국정비전을 ‘다시 도약하는 대한민국, 함께 잘 사는 국민의 나라’로 정했다. 또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실천전략으로 6대 국정목표와 20개의 ‘국민께 드리는 약속’, 110대 국정과제를 설정했다. 정책브리핑이 6대 국정목표에 이어 ‘국민께 드리는 약속’ 20개에 대해서도 자세히 살펴본다. (편집자 주)

새 정부는 새로운 균형발전 정책을 통해 수도권 집중문제를 해소하고 지역발전을 이끌어 나가겠다는 구상이다. 새 정부의 이러한 의지는 여덟 번째 ‘국민께 드리는 약속’인 ‘하늘·땅·바다를 잇는 성장인프라를 구축하겠습니다’에 잘 나와있다.



새 정부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국토공간의 효율적 성장전략 ▲빠르고 편리한 교통 혁신 ▲세계를 선도하는 해상교통물류체계 구축 ▲해양영토 수호 및 지속가능한 해양 관리 등의 세부 국정과제를 추진한다.

그동안의 균형발전을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도권에 경제·인구 집중이 심화되고 있어 새로운 정책이 필요하다는 게 새 정부의 판단이다. 이에 따라 새 정부는 메가시티와 강소도시를 육성·연계해 수도권에 대응하는 초광역권을 형성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메가시티를 조성, 기업이 스스로 투자·개발해 일자리까지 창출함으로써 지역 혁신을 견인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로 했다. 기업혁신파크, 도심융합특구 등 기존 성장거점을 조성해 규제특례와 각 정부부처 연구개발(R&D) 사업 등을 패키지로 지원한다. 또 지상철도시설을 지하화하는 등 구도심을 미래형 도시공간으로 재구조화한다.

신규 국가산업단지를 조성하고 역사·문화 등 지역의 고유자산을 활용한 지역 특화 재생 등을 통해 차별화된 강소도시도 육성한다. 이를 위해 새로운 인구가 유입되도록 주거·일자리·생활 인프라가 결합된 생활 거점을 구축할 계획이다. 혁신도시는 인재와 기업이 모이는 지역거점으로 강화한다. 

도시계획도 개편할 예정이다. 규제없이 자유로운 개발을 허용하는 ‘도시혁신계획구역’과 주거·업무 등 도시기능을 융·복합한 ‘복합용도구역’을 도입한다. 고정밀 전자지도와 3차원 입체지도 등을 통해 ‘디지털 트윈’을 조기 완성해 교통·환경·방재 등 도시문제 해결에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스마트시티 시범도시(부산·세종)를 완성하고 이에 더해 강소형 스마트시티도 만든다.

새 정부는 교통망 확충으로 수도권 30분, 메가시티 1시간, 전국 2시간 생활권을 조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GTX A·B·C 및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신설을 차질없이 추진하고 신규 노선 확대 방안도 검토한다. 철도 미운행지역은 간선급행버스체계(BRT)와 광역버스 노선을 확대한다. 경부·경인 등 주요 고속도로 지하에는 대심도 고속도로를 건설해 상습 정체 해소에 나선다.

메가시티 중심과 주변을 연결하는 광역철도 선도사업(권역별 5개), 도로망 구축 등을 통해 메가시티는 1시간 생활권으로 조성한다. 기존 철도 구간 고속화, 신규 고속도로·국도 확충, 가덕도·제주 제2공항 등 권역별 거점공항 설립 등을 통해 전국은 2시간 생활권으로 조성할 방침이다.

자가용처럼 편리한 대중교통을 위해 수요대응형 교통서비스를 확대하고 통근버스 활성화를 위한 규제 완화 등도 추진한다. 지하철 정기권을 버스에서 사용할 수 있게 환승할인을 확대하는 등 교통편의도 높인다. 교통소외지역 해소를 위해 마을택시를 확대하고 벽지노선 운행손실에 대한 지원도 시행한다. 지방공항의 국내항공 네트워크를 확충하고 국제선을 다양화해 항공을 통한 국민의 이동 편의를 확대하기로 했다.

국적 선복량을 2021년 8900만톤에서 2027년까지 1억톤으로, 같은 기간 공동물류센터는 3개에서 8개로 늘리는겠다는 것도 새 정부의 목표다. 이를 위해 선박·물류기지를 추가 확보, 수출기업에 안정적인 선적 공간을 제공할 계획이다. 선박 투자자에게 인센티브를 주고 공공부문 지원·투자를 확대해 국적선박 발주량도 늘리기로 했다. 해외 항만 터미널·공동물류센터도 추가로 확보한다. 교육·고용·보건안전·재해보상 등 선원 인력에 대한 전주기 지원체계도 마련한다.

2026년까지 광양항에 완전 자동화 항만을 구축하고 부산, 인천 등 신항만까지 이를 확대할 계획이다. 수리조선·액화천연가스(LNG) 벙커링 등 서비스를 확대하고 항로·배후단지를 조성해 경쟁력도 키운다. 2025년까지 자율운항선박 기술(무인 원격제어 수준) 및 무탄소선박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친환경 선박 도입시에는 선가의 최대 30%를 지원해 줄 방침이다.

전국 연안에 광역·지선·항만 진출입 등 유형별 해상 교통로를 지정하고 오는 2027년까지 디지털 해상교통관리체계로 전환한다. 2024년까지 오차 5cm 미만의 해양 위치정보서비스(PNT)를 제공하고 디지털 항해·통신 장비를 고도화해 국내 기업이 디지털 해상교통서비스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 주변국의 위협에 대응해 어업관리단을 어업관리본부로 개편하고 대형 어업지도선 및 해경 함정을 증강 배치하기로 했다. 해상경비정보융합플랫폼(MDA) 구축을 통해 해양주권 위협에는 빠르게 대응할 계획이다. 선박교통관제센터를 권역별 광역 센터로 통합하고 관제 레이더를 현재 86개에서 107개까지 늘리는 등 해상관제 고도화로 선박 안전을 확보한다. 민간구조대 지원을 강화하고 전문교육을 확대해 해양 인명구조 민관협력도 공고화한다.

섬 주민에 대한 이동권 보장을 위해 오는 2025년부터는 연안여객선 공영제를 실시할 방침이다. 해상교통 소외도서 제로화 추진과 함께 섬 주민에게는 여객선 요금을 경감해 준다. 지방자치단체 간 해상 경계를 획정하고 해상풍력 등 해양 개발에 대한 상생·공존 체계를 마련, ‘해양이용영향평가’ 제도를 도입한다.

국내 연안에 태풍·해일 등 재해 감시망을 만들고 주요 연안에는 친환경 완충 구역을 조성한다. 또 재해안전항만을 구축해 연안 안전망을 확보한다. 갯벌·바다숲 등 탄소흡수원(블루카본)을 확대하고 권역별 국가해양정원 조성을 추진한다. 친환경 부표를 보급하는 등 해양쓰레기 예방·수거도 강화한다.

관련기사